인프라

· 인프라
해당 포스팅은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강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 NamespaceapiVersion: v1kind: Namespacemetadata: name: anotherclass-123 labels: part-of: k8s-anotherclass managed-by: dashboard 네임스페이스(Namespace)는 기본적으로 Object를 그룹핑해주는 역할을 한다. 메타데이터(metadata) field에는 name과 labels가 있다.DeploymentapiVersion: apps/v1kind: Deploymentmetadata: # 해당 deployment는 이 namespace 소속이 된다. namespace: anotherc..
· 인프라
해당 포스팅은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강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쿠버네티스 표준 생태계로 편해진 IT 인프라 구축위 그림은 쿠버네티스, 클라우드와 연관되어 IT 인프라 생태계에서 많이 쓰이는 오픈소스들이다. CNCF 프로젝트도 존재하고, 비 CNCF 제품이어도 깃허브 stars가 높거나 일프로님이 추가한 제품들이다.기본적으로 클라우드 생태계에서 위 기술들에만 집중해도 충분하다는 의미이다.각 카테고리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개발: 기존의 App 개발에서 배포까지 써야하는 기술.오케스트레이션 / 매니징: App을 마이크로 서비스로 만들 때 쓰면 좋은 기술.플랫폼, 런타임: App을 클라우드로 올릴 때 사용되는 기술.프로비저닝, 분석: 프로젝트에서 App을 마이..
· 인프라
해당 포스팅은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강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 Linux의 흐름최초의 OS인 유닉스는 유료 버전으로, 이후 무료버전은 Linux가 탄생한다이 Linux를 기반으로 많은 배포판들이 만들어지는데, 대표적으로 debian linux와 rehat linux이다.debian linux는 커뮤니티용으로 무료이며, rehat linux는 redhat 기업에서 개발한 유료 배포판이며 유지보수 측면에서 많은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다. 쿠버네티스 설치 시에 두 배포판에 대한 설치 가이드를 제공한다.debian linux를 기반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는 ubuntu가 탄생한다. Ubuntu는 UI를 지원해서 사용자가 많이 넘어가게 되고 현재는 개인 학습용..
· 인프라
이번 포스팅은 Ubuntu와 같은 Debian Linux에서 쿠버네티스(kubernetes)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본 포스팅에서는 kubeadm을 이용해 쿠버네티스를 설치하는 방법을 다룹니다.또한 설치 버전은 v1.29, v1.28에 호환됩니다.공식 설치 문서: https://kubernetes.io/docs/setup/production-environment/tools/ 사전 작업먼저 kubernetes를 설치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요건을 만족해야 합니다.Debian 또는 Red Hat 기반의 Linux host가 설치되어있는 상태.2 Core 이상의 CPU & 2GB 이상의 메모리.고유한 hostname, MAC 주소, product_uuid.네트워크가 연결되어있는 상태이자, 특정 ..
EBEL
'인프라'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